엘키의 주절 주절

소소한 개발 이야기

L4 스위치 도입시 생겼던 이야기

예전 회사 이야기다. 적어도 나는 알지 못하던 상태에서 L4 스위치가 점검 시간에 도입이 됐다.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는 기존 라우터에서 중간 L4 스위치를 하나 더 거치게 됐다. 나로썬 왜 되입되는지 이유를 알 수 없었다. 왜냐면 TCP 서버이다보니 로드밸런싱의 주체는 로직이 들어간 우리 게임 서버 일부이기 때문이다. 브로드 캐스팅 대상을 좁히...

프로그래밍에서의 기본기란?

축구로 비유하자면 드리블, 패스, 볼 트래핑 등에 해당하는 부분이 과연 프로그래밍에선 무엇일까? 로우 레벨에 대한 이해도? 다양한 분야에 대한 폭넓은 지식? 신 기술에 대한 경험과 관심? 낮은 러닝 커브? 알고리즘 구현 능력? 코드 리딩 능력? 여러 지인들과 토의 해본 결과, 너무 다양한 이야기가 나와서 새삼 놀랐다. 어느 한명 같지 않았다...

(내맘대로 선정한) 프로그래머를 위한 필독서 16선

내가 읽어온 서적 중에서 프로그래머를 위한 필독서라 느껴졌던 책들을 추천한다. 16개 서적으로 다른 필독서 추천 글 (한상곤님 글, iostream) 보다 의도적으로 조금 더 적게 추천했다. 추천하고 싶은 서적이 늘어나고 줄어들 수 있겠지만, 그 시점에 생각을 반영한 것이니, 새로 글을 작성할 예정이다. 임백준씨 관련 책이 많은 것은 다분히 의도...

LOL 게임 기록 (+임무) 장애에 대한 이야기

자주 언급하진 않았지만, 나는 취미로 LOL을 플레이한다. 이번 주말 (토요일 오후) 통계가 쌓이지 않는 오류가 발생했다. 처음에는 op.gg와 같은 통계 사이트에 제공되는 API 서버 오류인걸로 추정했으나, 토요일경에는 하루 이전 데이터만 보였고, 현재는 모든 경기 기록 데이터를 조회할 수 없다. 이에 대해 라이엇 게임즈 측에서는 공지를 올...

MongoDB 팁

MongoDB를 로그 디비로 운용하며 생긴 이슈 및 쿼리 튜닝에 대한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운용을 검토중이시거나 운용 중이신 분들, NoSQL로 선정 고려중이신 분께 도움이 되면 좋겠네요. 인덱스 작성시 쿼리와 1:1 대응 시켜라. 적합 인덱스를 못찾았을 경우 rejectPlan을 타게 되는데 이 때, 매우 비효...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은 특징과 가치를 모두 보유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Reponsive (Future Pattern) : 요청 즉시 응답을 준 뒤, 실제로 완료하고 나서 다시금 응답한다. Elastic: 결합도가 뭉텅이 작업이 아닌, 작은 동작의 조합으로써 하나의 큰 로직을 구현함으로써, 확장성있게 시스템을 구축...

비동기 프로그래밍 관점에서의 Akka

Akka란 Actor 기반 시스템의 한 구현체이다.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단위를 Actor로 놓고, Actor간의 통신을 메시지 수신으로써 처리하는 개념이다. Win32에서의 메시지 기반 프로그래밍의 수신자를 여러 개 두는 개념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프로세스 내에서의 메시지 단위 통신이라고 할까? 지켜야 할 것은 다른 Actor간의 메소드 ...

도구의 중요성

명필은 붓을 가리지 않는다. 이 말이 와전 된 말이라는 것은, 이젠 꽤나 많은 사람들이 알게 됐다. ‘명필이 붙을 안가린다’라지만 사실은 붓을 가린다. - http://yopangyopang.tistory.com/296 개발 도구도 똑같다. 툴마다 어마어마하게 큰 생산성 차이를 낸다. 중요한 것은 절대적 툴 차원에서의 지원의 차이...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기

누구나 실수를 한다. 더 나아가 누구나 버그를 만든다. 구글도, MS도, 애플도 넷플릭스도 아마존도 버그를 만든다. 버그 없는 소프트웨어는 존재하지 않는다. 사용자 입장으로 가정하면, 정말로 버그 없는 소프트웨어는 존재 할 수 없다. 조금은 억울한 이야기는 하드웨어 오류로 인한 버그마저 소프트웨어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질 수 있고, 사용자에겐 ...

경험과 인사이트

누군가가 말한다. 경험이 전부라고. 또 다른 누군가는 말한다. 경험보다 재능이라고. 사실은 두가지 모두 중요한 요소다. 내 경험상 서류와 수치로 증명 가능한 재직 경력, 좋은 회사 재직자, 좋은 학교 졸업자 같은 것들이 무의미하다는 것은 아니지만 그것이 전부라 보기 어렵다. 그런 서류나 수치적인 것들을 뛰어 넘는 루키들은 업계에나 있어왔지만 그 ...